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OpenCV

Hand Gesture로 아두이노 제어하기(LED 밝기 제어) 저번 시간에 배운 MediaPipe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입니다. 1) MediaPipe를 이용한 손가락 제스처에 따른 크기 조절 - 엄지 손가락(4번)과 두번째 손가락(8번)을 좁혔다가 벌렸다 하는 제스처에 따라 두 손가락 끝의 점의 길이를 측정하여 화면에 출력해주는 소스코드입니다. - Vscode를 실행하고 'Open Folder'(폴더열기)를 선택하여 'ArduinoHandgesture'폴더를 새로 만들고 그 안에 'HandGestureVolume.py' 파일을 새로 생성합니다. 소스코드 import cv2 import mediapipe as mp import pyautogui x1 = y1 = x2 = y2 = 0 webcam=cv2.VideoCapture(0) my_hands = mp.solut.. 더보기
openCV를 활용하여 아두이노 제어하기(얼굴인식 도어락) openCV는 오픈소스 컴퓨터비전 라이브러리 중 하나로 크로스플랫폼과 실시간 이미지 프로세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Windows, Linux, macOS, IOS, Android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합니다. 영상처리를 대중화시킨 1등 공신으로 사실상 영상 관련 라이브러리로서 표준의 지위를 가지고 있어 openCV로 웬만한 영상 처리는 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여기서 자세한 원리는 다루지 않지만 시간을 두고 공부해 볼 것을 권장합니다. 1) 얼굴인식- Visual Studio Code 를 실행하고 File->Open Folder메뉴를 선택합니다.바탕화면에 작업폴더 'Arduino_Face' 만들고 새로운 파일 'FaceDetect.py' 를 만들어 아래의 소스코드를 넣고 실행시킵니다.import .. 더보기
아두이노를 활용한 인공지능 AI 의수만들기(노트북과 핸드이노 사용) 아두이노를 이용해 의수를 만드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카메라에 인식된 손 모양을 opencv와 mediapipe로 인식하여 손가락 번호에 해당하는 숫자를 아두이노로 전송하여 움직이게 만드는 원리입니다. 먼저, 필요한 재료는 아두이노 우노보드, 서보 모터, 모터쉴드, 배터리, 전선 등이 필요합니다. 의수 부분은 3D 프린터로 출력한 부품을 조립하여 만들고 아두이노 보드와 서보 모터의 선을 연결하고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도록 서보 모터와 연결합니다. 다음으로는 아두이노 코드를 작성하고 업로드한 후, 배터리를 연결하여 의수가 움직이는지 확인합니다. 인공지능 의수이기 때문에 파이썬의 opencv를 이용하여 카메라에서 사람의 손가락 움직임을 따라 의수가 움직이도록 제작하였습니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아두이노와 .. 더보기

반응형